한국민족미술연구소장
최완수
간송의 정신을
바탕으로 문예부흥의
초석이 되겠습니다.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 1906~1962) 선생이 본격적으로 문화재를 수집하기 시작하는 것은 1934년부터였습니다. 일제(日帝)가 우리 문화를 말살하려는 기운을 감지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간송은 민족문화가 일시 단절된다 하더라도 뒷날 나라를 되찾는 광복의 시기가 오면 문예부흥을 통해 그 단절을 복구할 수 있다는 굳은 신념으로 문예부흥의 근거가 되는 일급문화재의 수집보호에 앞장서게 됩니다. 간송의 나이 29세 때였습니다. 이로부터 수집한 문화재를 수장 연구할 박물관 건립부지를 성북동에 마련하여 북단장(北壇莊)을 설립 하였습니다. 그리고 매해 일본인 수장가들로부터 우리 일급문화재를 고가로 매입해 들이니 1935년에 고려청자의 대표작이라는 국보 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을 환수하고, 1936년에는 혜원 신윤복의 대표작인 국보 135호 《혜원전신첩》과 겸재 정선의 대표작 중 하나인 《해악전신첩》, 현재 심사정의 대표작 <촉잔도권> 및 조선백자의 기품인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등을 구입했습니다.
1937년 일본의 중국 침략을 감지한 동경 거주 영국인 변호사 존 개스비가 본국으로 귀국하며 살림을 정리하면서 당시 최고의 청자컬렉션을 간송에게 일괄로 넘기게 되니 국보 65호 <청자기린유개향로>, 국보 66호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 국보 74호 <청자거위형연적>, 국보 270호 <청자모자원형연적> 등이 그것이었습니다. 1938년 3월에 일제는 조선교육령을 개정 공포하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과목과 한문과목을 폐지합니다. 간송은 이런 참담한 문화말살 정책에 항거하기 위해 서둘러 북단장 안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박물관인 보화각을 건립했습니다. 이것이 지금의 간송미술관인데 윤 7월 5일에 상량하고 위창 오세창 선생이 정초명(定礎銘)을 지었습니다.
1940년 2월 11일에 일제가 창씨개명령(創氏改名令)과 국어(일본어)상용령을 내려 철저하게 우리 문화를 말살하려 하자 간송은 『훈민정음』 원본을 고가로 사들여 우리 글과 말을 지키는데 획기적인 공로를 세웠습니다. 이렇게 매년 심혈을 기울여 수집한 우리 일급문화재들은 보화각에 수장되었습니다. 그후 1962년 간송이 서거하고 나서 1966년에 한국민족미술연구소가 설립되는데 간송이 수집해 놓은 미술품을 연구 발표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마침내 1971년 가을부터 그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으로 개명되었습니다.
이후 매해 봄, 가을 전시회를 정례화하여 한 번도 거르지 않았으니 지난 2013년 가을 전시는 제 85회에 해당합니다. 간송 선생의 수집 목적에 따라 우리 연구소는 근 반세기 동안 간송이 수집해 놓은 문화재를 자료 삼아 일제 식민사관을 극복하는 미술사연구를 통해 우리 역사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평가하는 일에 매진해 왔습니다. 그 결과 최근에는 매 전시 때마다 관람객이 수백 미터에 이르는 장사진을 치게 되었습니다. 국민 여러분의 공감 확산 현상으로 보고 더욱 연구에 박차를 가하여 문예부흥의 밑거름이 되고자 합니다.

부소장 | 정병삼 |
학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
경력 |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전) |
주요 논문/저서 | 『의상화엄사상 연구』 『한국불교사』 |

연구실장 | 백인산 (白仁山) |
학력 |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 |
경력 | 1995 ~ 2006 : 한국민족미술연구소/간송미술관 상임연구원 2007 ~ 2013 : 한국민족미술연구소/간송미술관 연구위원 2002 ~ 현재 : 한국예술종합학교, 동국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출강 2014 ~ 현재 : 서울여자대학교 겸임 교수 |
주요 논문/저서 | 『조선의 묵죽』 『조선시대 사군자화론』 『선비의 향기 그림으로 만나다』 『추사와 그의 시대』 (공저)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공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난맹첩(蘭盟帖) 연구」 「선조년간(宣祖年間) 문인화(文人畵) 삼절(三絶)」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묵죽화(墨竹畵)」 「조선중기(朝鮮中期) 수묵문인화(水墨文人畵) 연구」 「조선왕조(朝鮮王朝)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탄은 이정 《삼청첩(三淸帖)》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등 |
연구위원김현철 (金賢哲)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
경력 | ||
주요 실적 | 2010년 초상 - 그 전신의 세계전 2012년 제주에서의 120일전 |
|
연구위원방병선 (方炳善) | 학력 |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문학박사 |
경력 | 고려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현) | |
주요 실적 | 『중국도자사 연구』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 |
|
연구위원송기형 (宋起炯)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문과 문학박사 |
경력 |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불문과 교수 건국대학교 예술대학 영화과 교수(전) |
|
주요 실적 | 「'창경궁 박물관' 또는 '이왕가 박물관'의 연대기」 「프랑스 공공소장품의 지정해제 사례 연구」 |
|
연구위원오세현 (吳世炫) | 학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
경력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경상대학교 교수(현) |
|
주요 실적 | 『조선시대 문화사』 (공저) 「조선중기 성리학의 위상과 계곡(谿谷) 장유(張維, 1587~1638)의 사상적 면모」 |
|
연구위원유봉학 (劉奉學)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 |
경력 | 한신대학교 명예교수 역사문화연구소 소장(현) |
|
주요 실적 | 『한국문화와 역사의식』 『실학과 진경문화』 |
|
연구위원이상현 (李相炫) | 학력 | 동경예술대학교 문화재재보존학 박사 |
경력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현) | |
주요 실적 | 『전통회화의 색』 『문화재보존과 기법』 |
|
연구위원이승철 (李承哲)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력 | 동덕여자대학교 동양화과 교수(현) | |
주요 실적 | 뉴욕 아케이트 갤러리 제3의 언어 초대 개인전 외 19회 『우리 한지』, 『누구나 할 수 있는 자연 염색』 |
|
연구위원정재훈 (鄭在薰) | 학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경력 |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현) | |
주요 실적 |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연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조선의 국왕과 의례』 |
|
연구위원조명화 (曺明和)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
경력 | 한국중국어문학회 회장 서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전) |
|
주요 실적 | 『불교와 돈황의 강창문학』 『한자 표준 새김』 |
|
연구위원차웅석 (車雄碩) |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 |
경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현) | |
주요 실적 | 『한의학통사』 (공편)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공역) |
|
연구위원탁현규 (卓賢奎) | 학력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전공 박사 |
경력 | 경인교육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강사(현) | |
주요 실적 | 『조선시대 삼장탱화 연구』 「수운 유덕장의 묵죽화 연구」 |
객원연구원김민규 (金玟圭) | 학력 |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 |
경력 | 한성대학교, 동국대학교 강사(현) | |
주요 실적 | 「조선 왕릉 장명등 연구(朝鮮 王陵 長明燈 硏究)」 「조선 18세기 조각가 최천약(崔天若) 연구」 |
|
객원연구원손광석 (孫光錫) | 학력 |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일반대학원 회화학과(모사전공) 박사 |
경력 | 건국대학교 회화학과 겸임교수 단월문화재복원모사연구소 소장(현) |
|
주요 실적 | 대구 동화사 삼장탱 모사본 제작 나주금산사미륵전 벽화모사 |
|
객원연구원신채용 (申釵容) | 학력 |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
경력 | 한국역사인물연구소장 국민대학교 강사 |
|
주요 실적 | 「조선 왕실의 백년손님(역사비평사, 2017)」 「조선시대(朝鮮時代) 의빈가문(儀賓家門) 연구(硏究)」 |
|
객원연구원이민식 (李敏植) | 학력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경력 | 수원화성박물관 학예팀장(현) | |
주요 실적 | 「정조의 서예관과 서체반정」 「추사서파의 김석문」 |
|
객원연구원현승조 (玄承祚) | 학력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회화학과 불교회화 전공 졸업 |
경력 | 용인대, 한성대 강사(현) | |
주요 실적 | 현승조 불교회화전 초대전 ‘평등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