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24 Kim Yongkwan

"모두를 위한 무장애 관람"
무장애 시설 안내

무장애 관람으로 우리 모두가 누리는 대구간송미술관

  • 대구간송미술관은 모든 방문객이 동등하고 편안하게 미술관을 이용하며 우리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무장애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모두를 위한 대구간송미술관의 무장애 관람 주요 편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외공간, 지상 2층

주차장에서 입구까지

  •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미술관 주 출입구 앞)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 \장애인, 임산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장애인 전용 3대
    임산부 전용 1대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 장애인/임산부 주차구역,주차장에서 입구로 이어지는 길
    장애인/임산부 주차구역 주차장에서 입구로 이어지는 길
    장애인/임산부 전용 주차구역 주차장에서 입구로 이어지는 길
  • 유의사항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를 부착하지 않은 자동차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없습니다.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법규를 위반한 자동차에는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방해 행위는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미술관 입구

  • 미술관 입구 우측면에 촉지도가 있으며, 층별 손잡이 등 점자안내판이 설치 있습니다.
    미술관 입구 - 미술관 촉지도, 층별점자 손잡이 등
    미술관 촉지도 층별점자 손잡이 등
    미술관 촉지도 층별점자 손잡이 등

미술관 2층(실내)

  • 무장애 시설안내
    • 장애인 화장실(남·여): 1개소, 매표소 옆
    • 매표소: 장애인을 위한 낮은 매표소 운영
    •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상 1층 ~ 지하 1층으로 이동하실 수 있으며, 전 층에서 휠체어와 유모차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휠체어 / 유모차 대여 안내
    휠체어 / 유모차 대여 안내 - 구분, 유모차, 휠체어
    구분 유모차 휠체어
    이용대상 24개월 미만 영유아 노약자, 장애인 등
    보유대수 4대 4대
    이용시간 미술관 개방시간 내 이용
    대여장소 안내데스크(지상 2층)
    휠체어 / 유모차 대여 안내 - 낮은 매표소, 유모차 대여 등
    낮은 매표소 유모차 대여 등
    낮은 매표소 유모차 대여 등

  • 무장애 관람동선안내

    
                            이 그림은 무장애 시설 안내 (미술관 야외공간, 2층) 평면 안내도입니다. 주요 공간과 동선이 표시되어 있으며, 특히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과 주요 출입 동선이 잘 안내돼 있어요.
다음은 공간 구성과 동선 설명입니다:
주요 공간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그림 상단 오른쪽에 위치. 휠체어 표시와 함께 파란색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로비: 주차장에서 건물 안으로 들어오면 바로 만나는 공간.
강의실: 로비 왼쪽.

라운지 ‘온’: 강의실 옆.

서고: 라운지 ‘온’ 옆.

아카이브 ‘집’: 서고 옆.

박석마당: 건물 아래쪽 넓은 야외 공간.

화장실: 로비 옆에 남녀 공용, 장애인용 화장실이 있어요.

엘리베이터: 로비 안쪽에 위치.

주요 동선
주차장에서 건물 안으로 진입하는 길을 주황색 점선 화살표로 표시해두었어요.

교통약자 전용 주차장 →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 이용

로비로 이동

필요시 화장실 이용 가능

좌측으로 이동하면 강의실, 라운지, 서고, 아카이브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박석마당으로 이동 가능

지상 1층

무장애 시설안내

  • 장애인 화장실(남·여): 1개소, 강당 옆
  • 유아휴게실(수유실): 1개소, 강당 옆
  • 강당 내 휠체어 전용 좌석 운영
    강당 내 휠체어 전용 좌석 운영 - 유아휴게실, 강당 내 휠체어 전용공간
    유아휴게실 강당 내 휠체어 전용공간
    유아휴게실 강당 내 휠체어 전용공간
  •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상 2층~지하 1층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무장애 관람동선안내


                    이 그림은 무장애 시설 안내 (1층) 평면 안내도입니다.  무장애 관람 추천 동선과 주요 공간 위치가 표시되어 있어요. 공간 설명
강당 : 그림의 왼쪽 상단.

화장실 및 유아수유실 : 강당 옆에 있으며 장애인 화장실도 포함.

엘리베이터 : 화장실 옆.

간송의 방 : 강당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위치.

보이는 수리목원실 : 간송의 방 오른쪽.

간송 아트숍 : 간송의 방 아래쪽.

중앙홀 : 건물 중앙에 위치한 넓은 공간.

전시실 1 : 가장 왼쪽 아래.

전시실 2 : 오른쪽 위쪽.

전시실 3 : 전시실 2 아래쪽.

주요 동선
주황색 점선 화살표로 무장애 관람 추천 동선이 표시되어 있어요.

엘리베이터 또는 입구에서 중앙홀로 이동

중앙홀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전시실 1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전시실 2와 3

중앙홀 윗방향으로 이동하면 간송 아트숍, 간송의 방, 강당, 화장실

화장실 근처에는 엘리베이터와 유아수유실도 위치

지하 1층

무장애 관람동선안내


                    이 그림은 무장애시설 지하1층 안내도 입니다.  전시실 4, 5와 수공간(야외 물공간), 정자 등이 포함돼 있고, 무장애 관람 추천 동선도 표시되어 있어요.
                    공간 설명
전시실 4 : 왼쪽 상단에 위치.

전시실 5 : 오른쪽 상단에 위치.

수공간 : 건물 아래쪽, 야외 물공간.

정자 : 수공간 윗부분, 정면 쪽.

주요 동선
주황색 점선 화살표로 무장애 관람 추천 동선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전시실 4와 5 사이 공간으로 이동

그곳에서

왼쪽으로 가면 전시실 4

오른쪽으로 가면 전시실 5

전시실을 관람한 뒤, 다시 중앙 복도로 나와 아래쪽 수공간으로 이동 가능

수공간 안쪽에 정자도 위치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자료관리 담당자
최근업데이트
2025. 05. 15
  • 대구광역시 수성구 미술관로 70T. 053-793-2022F. 053-794-2022
  • 언론ㆍ취재 지원 관련 문의 : ☎ 070-4280-6713 (대외협력팀)
  • info_daegu@kansong.org

후원안내

  • 후원계좌 : iM뱅크(구.대구은행) 505-10-253418-8 간송미술문화재단
  • 후원문의 : 070-7703-5905
  • Kansongpatron_d@kansong.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