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추묘

菊庭秋描: 국화 핀 뜰 안의 가을 고양이

변상벽(卞相壁, 1730~1775)
지본채색
29.5×22.5cm
변상벽은 영조년간 최고의 초상화가로 평생동안 어진을 비롯해 100여점에 달하는 명현(名賢)들의 초상화를 그려 국수(國手)로까지 일컬어지던 인물이다. 그는 인물 초상으로 다져진 숙련된 기량을 바탕으로 영모화에서도 빼어난 기량을 보여주었다. 특히 고양이와 닭을 잘 그려 ‘변고양이(卞古羊)’와 ‘변닭(卞鷄)’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였으니, 그 정치한 솜씨가 어떠했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국화가 소담하게 피어난 가을 뜨락을 배경으로 웅크리고 앉아있는 고양이를 그린 이 작품은 그 명성을 실감하게 하는 대표작이다. 인일과 장수의 복을 두루 누리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진 그림이다. 예로부터 고양이는 노인을 상징하고 국화는 은일을 대표하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그림의 백미는 이런 상징성과 의미보다는 놀라울만큼 사실적인 묘사력이다. 얼룩고양이는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가을 햇볕을 즐기다 인기척에 놀라 잔뜩 경계하는 모습처럼 보이기도하고, 먹잇감을 노려보며 긴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상황설정이나 형세도 빼어나지만, 한 가닥 수염과 터럭 한 올의 묘사에도 조금의 소홀함이 없으며, 나아가 눈동자의 미묘한 색조와 귀속 실핏줄, 심지어 가슴부분의 촘촘하고 부드러운 털과 등 주변의 성근 듯 오롯한 털의 질감까지 정교하게 잡아내고 있다.

형사(形寫)는 물론이거니와 대상의 심리까지 정확히 전달하고 있어 고양이의 초상화라 불러도 좋을 듯하다.

전신(傳神)의 묘오(妙悟)를 체득한 작가의 원숙한 기량을 절감하게 하는 수작으로 진경시대 사실적 화풍의 또 다른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화재(和齋)’란 인장을 찍었으며 중앙에 ‘화재가 그리다.(和齋筆)’라고 관서(款書)를 했다.(白)

error: Alert: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