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죽

枯竹

이정(李霆, 1554~1626)
흑견금니
25.5×39.3cm
보물 제1984호 《삼청첩(三淸帖)》
《삼청첩》의 그림들 중 마지막 장에 해당하는 작품입니다. 마른 댓가지가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상단으로 향하며 화면을 양분하는 대각선 구도에 아래에서 윗쪽으로 늘씬하게 뽑아낸 대 줄기가 상승감을 고조시킵니다. 앙상한 큰 줄기는 물론 작은 줄기들의 묘사도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냈습니다. 또한 수묵이 아닌 금니로 그려 효과는 반감되었지만, 마른 붓질로 드러낸 비백(飛白)은 고죽이 주는 소산한 느낌을 배가시킵니다. 다가올 겨울을 견뎌내기 위해 잎을 떨궈낸 마른 대나무를 지칭하는 고죽의 형상과 느낌이 실감나게 전해집니다.

화면 왼쪽 상단에는 관서(款書)가 있어 이정이 41세가 되던 해인 1594년 12월에 충청도 공주에서 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옆으로는 5방의 인장이 찍혀있는데, 그 내용은 ‘탄은(灘隱)’,‘석양정정(石陽正霆)’, ‘중섭(仲燮)’으로 모두 이정의 호(號), 봉호(封號), 자(字)를 새긴 것입니다. 나머지 2방의 인문은 ‘의속(醫俗)’과 ‘수분운격(水分雲隔)’입니다. ‘의속’은 속된 것을 고친다는 의미로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7-1101)이 「녹균헌(綠筠軒)」이란 글에서 “고기가 없으면 사람을 여위게 하고 대가 없으면 사람을 속되게 한다. 사람이 여위면 오히려 살찌울 수 있으나, 선비가 속되면 그 병은 고칠 수 없다.(無肉令人瘦, 無竹令人俗. 人瘦尙可肥, 士俗不可醫.)”라는 내용을 축약했습니다. 물이 나누고 구름이 막는다는 의미인 ‘수분운격’은 두보의 시 「취증설도봉(醉贈薛道封)」 중 한 구절입니다. 자연을 벗 삼아 은일하며 지내는 자신의 생활모습을 집약한 내용입니다.

error: Alert: Content is protected !!